공부날짜 : 2025년 4월 13일 일요일
공부시간 : 5시간 13분
문자열
- 문자열은 " " or ' ' 로 감싸준다
a = " Hello World " 일 때,
print (a) 와 a의 차이는?
-> a 만 출력시 문자열 표시인 ' ' 도 표시된다
여러 줄을 하나의 변수에 넣고 싶다면?
- ''' 나 """ 사용 !
문자열 연산 활용 (띄어쓰기, 곱하기)
문자 -> 숫자 변환
a = "20"
변환은 int(a)
출력은 print(int(a)) -> 20
또는 실수형일 때 print(float(a))
인덱싱 [ ]
- 문자열 내부의 분자를 하나 선택하는 연산자
- 대괄호 안에 선택할 문자의 위치 지정 (공백도 한 칸 차지함)
ex. 변수[시작인덴스(0부터 첫자리 시작) : 끝인덱스 : 간격] / 마지막 위치는 -1로도 표현
a[ : : 2 ]
-> Hlo ol => 처음부터 끝까지 2칸씩 건너뛰기
a[ 1 : -1 : 3]
-> eoWl => 인덱스 1부터 -1 전까지 3칸씩 건너뛰기
a[ : : -1] -> 거꾸로 쓰기
문자열 길이 구하기 함수 len()
문자열과 숫자열의 혼용
문자열 포맷팅
- 문자열 내부에 표현식 삽입
format () / f-문자열
문자열 함수
변수가 a 일 경우,
upper / lower() 함수
- 대문자/소문자 변환 함수
- a.upper() / a.lower()
- a 자체가 변환된 대문자/소문자로 바뀐것은 아님! 단지 출력된 것뿐.
새롭게 바뀐 것으로 덮어쓰고 싶으면
소문자를 대문자로 바꿨을 경우 a = a.upper() 로 새로 변수 정해주기
strip() / lstrip() / rstrip() 함수
- 문자열 공백 제거 / 왼쪽 공백 제거 / 오른쪽 공백 제거
count() 함수 : 문자열 안의 특정 문자열이 나온 개수 카운트
a = 'hobby'
a.count('bb')
-> 1
find / index() 함수
우선 find() 함수
a = ' rainbow '
a. find ( 'b' ) -> 4 출력. 4번 인덱스 자리에 b 있음
a [ a. find ( 'b') ] => a [4] 가 되므로 b 출력됨
a. find ('k') 입력하면 -1 (false) 출력됨
a [a. find('k')] 하게 되면 a[-1]이 되므로 w 출력
index() 함수의 경우
a = ' rainbow '
a. find ( 'b' ) -> 4 출력. 4번 인덱스 자리에 b 있음까지 동일.
a. index ('k') 할 경우 오류뜸 (-1 말고)
a [a. find('k')] 하게 되면 오류 뜸
의 차이가 있음.
join / split() 함수
- join() 함수는 리스트에서 많이 쓰인다.
- splint() 함수는 문자열을 특정한 문자열로 자를 때 사용한다. 띄어쓰기를 기준으로 자를 때는 splint(" ") 사용.
replace() 함수
- 특정 문자 바꾸기
starswith / endswith() 함수
- 이 문자열이 특정 문자로 시작해?/끝나?
input 함수
- 변수 = input ( '입력받을 때 띄우고 싶은 말') 의 형식으로 변수에 들어갈 말을 빈칸에 입력할 수 있도록 받을 수 있다.
이때 x의 타입은 str(문자)로 나온다,
만약 x를 숫자 타입으로 받고 싶다면 아래처럼 입력한다.
Tip )
print가 안될 때 는
print를 변수명으로 썼을수도 있음 del print 하기 !
'파이썬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5일차-2] 리스트(list) (0) | 2025.04.15 |
---|---|
[파이썬 5일차-1] 문자열 문제 풀이 (0) | 2025.04.15 |
[파이썬 4일차] 파이썬 작업한 파일 GitHub에 올리기 / 내려받기 / .py vs .ipynb 차이 / 내가 겪은 문제상황들 (3) | 2025.04.15 |
[파이썬 2일차] 숫자형(사칙연산, 할당연산) (0) | 2025.04.13 |
[파이썬 1일차] 변수 / print 함수 (1) | 2025.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