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파이썬 공부

[파이썬 6일차-3] 딕셔너리

by 지우개봉봉 2025. 4. 17.
반응형

공부날짜: 2025년 4월 16일
공부시간: 3시간 17분

딕셔너리?

키(key): 값(value)의 쌍이 모여있는 사전형태의 자료형
키: 값의 쌍을 중괄호{}로 감싸준다
변수명 = { '키1':값, '키2':값, ... )
키는 중복될수 없고 리스트는 키가 될수 없음.
튜플은 키로 가질수 있다(변하지 않아서)
위치로 인덱싱 되지 않음

딕셔너리 예시

 

딕셔너리 요소 추가? 삭제?
추가: 딕셔너리변수명 [추가할키] = 추가할 값
삭제: del 딕셔너리변수명 [삭제할 키]

 

딕셔너리 키로 값 찾기
딕셔너리변수명[찾을키]

 

딕셔너리 함수

keys, values, items 함수는 자주 쓰니까 잘 알아두기!

key, values, items

 

get / update / zip

리스트의 길이가 서로 다른 경우, 짧은 것을 기준으로 대응.

 


연습문제

1번

밸류값들의 합을 구하고
키들의 갯수를 새서
밸류합을 키의 갯수로 나눠준다!

 

2번

나의 풀이)
리스트들을 딕셔너리로 변환할줄을 몰랐다..

선생님 풀이)
리스트들의 키와 밸류들을 zip해서 dic을 만들었다.
그리고 input 입력받아 출력.
d [key_input]은 key를 주면 그에 해당하는 value를 돌려주는 구조

 

3번

선생님 풀이법)
딕셔너리의 .keys()와 .values()는 각각 키와 값들을 뽑아주고, list()로 감싸서 리스트로 만들어준다.
index()는 리스트에서 해당 값의 위치를 찾아주는 함수. index로 150000가 몇번째 인덱스에 있는지 찾는다.
동일한 인덱스를 key_list에서 사용해서 키 리스트에서 150000에 대응하는 요소를 찾는다.

반응형